05 비텐베르크(Wittenberg)
https://www.luther2017.de/en/
몇년 전 독일 루터교회에서 영성훈련을 책임 맡고 있는 마티아스 박사님(Matthias Rost)과 그의 프로그램에 함께 참여한 루터교회 목사님들 몇분이 한국에 방문했었다.
소위 한국의 '메가처치'를 방문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한국교회의 상황과 다양한 노력들을 보여주기 위해서 서울 뿐만 아니라 지방에까지 매일 강행군을 하면 사람들을 만나고 인터뷰 했던 기억이 난다.
그리고 이제는 그분들이 한국 목회자들을 초청하여 독일 현지교회의 상황과 모습을 보여주고자 초청하셨다.
마틴 루터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불의한 교황의 권력에 대항하며 교회 문에 붙인 95개조 반박문의 이야기일 것이다. 실제로 반박문이 붙었을 것이라 추정되던 비텐베르크 성 교회의 원래의 문은 불에 타서 없어졌고 대신에 이렇게 반박문의 내용을 담은 새로운 문이 생겨났다. 1517년 10월31일에 붙은 95개조의 반박문이 실제로 이 때 한번의 사건으로 개혁이 시작되었다기 보다는 토론을 위한 95개의 명제문을 붙임으로써 그 당시 부정의 했던 로마 카톨릭의 교리와 교황에 대한 개혁으로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비텐베르크 시립교회는 첫 독일어 예배가 드려진 곳이며, 빵과 포도주를 성도에게 처음으로 나누어준 역사적인 장소이다. 이곳에서 사역하시는 담임목사님 Johannes Block 박사님과 사모님의 설명을 듣고 함께 토론하고 교제하는 시간을 가졌다. 루터의 행적에 대해 일종의 홍보역할?을 맡은 당대 유명한 화가 루카스 크라나흐와 그의 아들의 작품들이 비텐베르크 전역에서 만날 수 있다.
시립교회의 외벽 한쪽 구석에는 랍비가 돼지 뒤에서 밑을 자세히 들여다보고 있고 밑에서 돼지 젖을 빠는 유대인들의 조롱이 담긴 벽화가 그대로 남아있다. 루터 자신도 마찬가지였고 개혁교도들 대부분은 유대인에 대한 감정을 노골적으로 드러내었다. 그리고 이러한 anti-semitism은 1,2차 세계대전을 통해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한가지 흥이로운 사실은 독일교회가 저런 조각상을 없애지 않고 그들의 하나의 역사로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아래 바닥에는 마치 억압하고 억합하지만 그럼에도 그 억압을 뚫고 나오려는 유대인의 민족성을 대변하는 부조가 새겨져 있다. 그리고 이들을 위로하고 또 교회로서 회개하는 마음으로 백향목 한그루를 교회 앞에 심어놓았다고 한다.
'Journey > 2017 Czech and Germany'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 아이제나흐 개신교 수녀원 그리고 바르트부르크 (0) | 2017.05.06 |
---|---|
06 예나 루터교회 (0) | 2017.05.06 |
04 프라하 얀후스 (0) | 2017.05.05 |
03 얀후스박물관, 유배지 그리고 타보르 박물관 (0) | 2017.05.05 |
02 텔츠 그리고 관용의 교회 (0) | 2017.05.05 |